우리몸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같은 병원체가 들어오면 그들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면역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면역이 음식이나 꽃가루 등에 과민반응이 보일때가 있는데요. 이를 '알레르기반응'이라고 부릅니다. 알레르기 반응은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주로 발진, 재채기, 콧물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원인은 우리 가까운곳에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음식섭취로 인한 알레르기, 먼지 진드기, 꽃가루, 곤충, 동물 등을 만지거나 매개체와 관련된 무엇가를 흡입할 경우가 있는데요. 엄마나 아빠에게 알레르기가 있다면 부모의 아이에게도 알레르기가 나타날 확률이 높은것이 사실입니다.


엄마나 아빠에게 유전되는 알레르기

부모 모두가아닌 한쪽에서 알레르기가 있을 경우 알레르기가 유전되는 확률은 30%미만입니다. 엄마만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아이에게 유전될 확율은 약 30%정도입니다. 여성분들이 흔히 겪는 피부트러블로 오랜기간 고민을 해오게되는데 결혼 후 아이에게 유전되는것이 아닌지 걱정을 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유전되는것이야 막을방법이 없으니 우선은 아이가 태어나면 건강과 알레르기반응이 심해지지 않도록 예방하는것이 중요하힙니다. 아이입장에서 엄마가 항상 자기를 보면서 걱정하고 불안해하면 아기성장에 도움이 되지는 않을거니깐요. 반대로 아빠에게 알레르기가 유전될 확률은 25%정도로 엄마에게 유전될때보다 조금 낮은 수치입니다. 알레르기 증상은 엄마나 아빠의 알레르기 증상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니 심할 경우 알레르기 테스트를 받아보는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부모 모두 알레르기이거나 아닌 경우

부모가 모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경우에는 아이에게 유전될 확율이 무려 50%에 달한다고합니다. 부모중 한쪽에서만 발생한것보다 약 20~25% 높은수치인데요. 반대로 부모에게 알레르기가 없는 경우에는 유전될 확율이 매우 낮은편입니다. 단, 부모에게 알레르기가 유전되지 않는다해서 무조건 알레르기가 생기지 않는것은 아닙니다. 아이가 자라는 과정에서 육아환경 및 식습관에 따라 알레르기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으니 유의해야합니다.



부모가 알레르기를 심하게 겪은 경험이 있고 아이에게 알레르기 유전된다면 미안하게 생각하고 자책할 수도 있습니다. 비록 물려받지 않았으면 하는바램에도 불구하고 나쁘다고 생각한것이 유전되었지만 훌륭한 유전자도 물려주었다는 것을 잊지마시고 아이와 행복한 시간보내시면 좋겠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